[컨슈머치 = 김현우 기자] ‘경유값 인상’관련 보도에 기획재정부가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지난 25일 경유 값을 인상하는 방향의 세제개편안 연구용역이 사실상 결론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는 다수 매체 보도에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가 “결정된 것은 없다”라고 밝혔다.
어제 다수 매체는 “기재부가 내달 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리는 공청외에서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산업통산자원부‧환경부가 의뢰한 ‘수송용 에너지 상대가격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같은 언론 보도에 기재부는 해명자료를 통해 "연구결과 및 상대가격 조정방안은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해당 연구용역이 경유세 인상 개편안을 담았다는 내용 및 정부가 경유세 인상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알려드리니 보도에 신중을 기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언론사에 당부했다.
한편, 논란이 된 개편안은 현행 휘발유의 85% 수준인 경유 값을 90%까지 소폭 인상하고 LPG값은 50%로 두는 ‘저부담시나리오’, 경유 값을 휘발유 값과 동일한 가격으로 인상하고 LPG값 역시 65%로 올리는 ‘중부담 시나리오’, 경유 값을 휘발유 값의 125%까지 인상하고 LPG값 역시 75%까지 올리는 ‘고부담 시나리오’ 등 기재부가 휘발유 가격은 그대로 두되 경유와 LPG 값은 조정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관련 내용을 두고 네티즌들은 “국제유가는 하락하는데 기름값을 인상해 세금을 걷는구만”, “지금도 생활고로 힘들어서 겨우 살아가는데 그 와중에 경유값 인상이라니”, “경유 값 인상으로 또 물가가 대폭 오르겠구나” 등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