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이우열 기자] SK텔레콤이 국내 최초 유선인프라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은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업체 노키아(대표 라지브 수리)와 분당 종합기술원에 위치한 ‘5G글로벌 혁신센터’서 국내 최초 유선인프라 5G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 | ||
▲ SK텔레콤이 국내 최초 유선인프라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 (출처=SK텔레콤) |
SK텔레콤은 지난 10월 세계 최고 속도 19.1Gbps 시연 성공 이어 유선 인프라 ‘코어네트워크’서도 5G 기술 개발 및 시연, 국내 최초 유·무선을 아우르는 종단간(End-to-End) 5G 기술 라인업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코어네트워크’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며 고객 인증, 데이터 전송 등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근간의 일들을 수행한다. 고객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코어네트워크’를 거쳐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5G 상용화를 위해서는 ‘코어네트워크’ 혁신이 필수적이다.
고객이 요청한 통화, 문자, SNS, 인터넷 등 서비스들은 주요 대도시에 설치된 ‘중앙관제소’를 통해서만 처리된다. 이 ‘중앙관제소’ 분산 배치를 통해 고객과 물리적 거리를 줄일 수 있는 ‘코어네트워크 혁신’은 대용량 콘텐츠 초저지연 전송이 필수적인 5G 시대를 위해 반드시 풀어야 할 난제 중 하나로 지목되어 왔다.
이번 시연에 성공한 ‘코어네트워크 분산 및 재배치’ 기술은 가상화 기술을 통해 물리적인 ‘코어네트워크’를 분리하고 재배치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전국 주요 지역에 별도 가상 ‘중앙관제소’를 구축해 해당 지역서 들어오는 서비스 요청을 바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코어네트워크’와 수백 Km 떨어진 일부 고객과 물리적 거리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5G 서비스를 고품질,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코어네트워크의 지능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전체를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차별화된 5G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노키아와 5G 네트워크 아키텍처 최적화 및 이를 표준화하기 위한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