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매년 지적되는 산업은행의 퇴직직원 '낙하산' 재취업 문제가 올해도 어김없이 도마에 올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학영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 의원이 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 받은 2016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산업은행 퇴직 임직원 104명이 산업은행이 지분을 갖고 있거나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기업에 재취업했다. 또한 올 해에도 11명의 퇴직자가 이른바 낙하산 취업에 성공했다.
이들은 각기 재취업 기업의 대표이사, 감사, CFO, 부사장 등 주로 요직에 보임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와 감사원 등이 그 동안 끊임없이 산업은행 출신 인사들의 낙하산 문제에 대해 지적했지만, 산업은행은 구조조정 및 출자회사 등의 관리·감독 강화라는 명분을 방패 삼아 퇴직 임직원 재취업 문제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해 왔다.
실제로 산업은행의 최근 5년간 국정감사 지적 사항을 살펴보면 매년 국회로부터 퇴직자의 자회사 및 대출 기업 재취업 관행 개선을 요구 받았다. 지난 2012년 감사원 금융공기업 경영실태 감사에서도 퇴직 임직원 재취업이 적정하지 않다는 기관주의 경고를 받았다.
특히,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로 있는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산업은행 출신들이 사외이사, 최고재무책임자 등을 맡아 경영을 감시해 왔음에도 현재 수조원대 분식회계, 방만 경영 등으로 관리감독 문제가 불거진 상태이기 때문에 고질병처럼 되풀이되는 ‘낙하산 인사’ 문제를 뿌리 뽑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민주 이학영 의원은 “낙하산으로 취업해서 제대로 역할을 해도 형평성의 문제가 있는 판국에 대우조선해양의 낙하산 임원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또 확인됐다”며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산업은행장 선임을 포함한 산업은행의 인사문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점검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은행 홍보팀 한 관계자는 “자회사 혹은 투자가 들어간 회사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 측에서도 관리가 필요한 입장이기 때문에 퇴직한 임직원들의 재취업이 많이 이뤄지고 있는 편“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물론 이번 대우조선해양의 경우처럼 관리 부실 문제가 도마에 오르는 경우도 있지만 퇴직 임직원들이 간 모든 회사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잘못된 부분에서 대해서는 우리 측에서도 관리를 가는 직원이 더 철저히 감독을 하도록 당부를 하거나 내부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