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컨슈머치 = 김은주 기자] 낙하산 인사 논란에 단골 손님이 있다면 ‘산업은행’을 빼놓을 수 없다.
매년 지적 받는 부분이지만 도통 개선의 의지가 안 보인다. 오히려 뭐가 문제인지 인지조차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최근 국정감사 자료를 살펴보면 2008년부터 2015년까지 산업은행 퇴직 임직원 104명은 산업은행이 지분을 갖고 있거나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기업에 재취업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일이다.
올해도 역시 다르지 않다. 오히려 올해만 해도 총 11명의 산은 출신 퇴직자가 낙하산을 타고 대표이사, 감사, CFO, 부사장 등 각 회사 요직에 사뿐히 안착했다.
산은 출신 인사들의 낙하산 문제는 그 동안 사골 우리 듯 끊임없이 국회 및 감사에서 지적돼 왔다.
그 때마다 산업은행은 구조조정 및 출자회사에 대한 관리·감독이라는 명분을 방패 삼았다.
올해 역시 똑같은 답변이 돌아왔다.
산은 한 관계자는 “단순히 산은 출신 사람이 퇴직 후 관계사에 취직했다는 사실만 보면 누가 봐도 낙하산 인사이지만"이라는 사족을 달고 난 뒤 "해당 업체들의 경우 기본적으로 우리 측 투자가 많이 들어간 회사이기 때문에 사람을 보내 관리감독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합리화했다.
하지만 올해는 유독 해당 방패의 상태가 옹색하게 느껴진다. 바로 산은이 최대주주로 있는 대우조선해양 사태 때문이다.
현재 대우조선은 산은 출신 퇴직자들이 사외이사, 최고재무책임자 등을 맡아 경영을 감시해 왔음에도 수조원대 분식회계, 방만 경영 등으로 부실 사태를 야기해 수 조원의 국민 혈세를 낭비했다는 질타와 함께 관리감독 문제가 도마에 오른 상태다.
낙하산으로 취업 한 뒤 제 역할을 똑바로 해도 형평성 문제로 뒷말이 불거질 소지가 다분한데 대우조선에 착륙한 낙하산 임원들은 제 역할조차 제대로 해내지 못했으니, 입에 열 개라도 변명의 여지가 없다.
물론 이에 대해서도 산은 측은 할 말이 있다는 입장이다. 대우조선의 경우처럼 관리 부실 문제가 불거지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회사에서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앞으로 제2, 제3의 대우조선해양 사건이 터지지 말라는 법도 없다는 뜻이다.
무분별한 '낙하산' 인사때문에 벌어진 사태에 혈세를 바치느라 국민들은 '낙하산'도 없이 벼랑 끝으로 떠밀리고 있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