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0대 대기업집단의 소비자에 대한 사회책임 경영 점수가 100점 만점 중 40점을 겨우 넘긴 것으로 밝혀졌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202개 대기업 계열사의 평균 점수도 38점으로 낙제점 수준이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0대 그룹 80%가 소비자에 대한 책임경영 점수를 50점 이하로 받았다.
사회책임경영평가는 근로자, 협력사 및 경쟁사, 소비자, 지역사회의 네 부문으로 이뤄졌다.
20대 그룹은 소비자 부문 세부 평가항목 가운데 '소비자의 개인정보보호‘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소비자와의 공정거래'는 35.39점, '소비자와의 소통'은 36.00점, '소비자의 안전 및 보건'은 55.12점이었다.
20대그룹 중 재계 12위인 두산그룹이 소비자에 대한 사회책임경영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65.76)를 받았다. 소비자 부문에서 50점을 넘긴 그룹은 두산을 비롯해 삼성(58.52), 롯데(53.68), SK(52.02) 등 4개그룹에 그쳤다.
반면 신세계그룹, GS그룹, 현대중공업그룹은 소비자 부문 평가가 20점대에 그치며 하위권에 머물렀다.
개별 기업별로는 아파트 브랜드를 지닌 건설 업체들의 소비자 부문 책임경영 점수가 낮았다.
'데시앙'의 태영건설, 하늘채'의 코오롱글로벌, '아이파크'의 현대산업개발, '자이'의 GS가 부진했다.
이번 20대 그룹 사회책임경영평가는 이들 그룹에 소속된 총 999개 계열사 중 127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치,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