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지난 26일과 27일 양일간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실시한 급발진 재현실험에서 엔진출력 이상 급등과 같은 급발진현상을 규명하지 못했다.
30일 국토부는 급발진 추정사고에서 차량결함이 확인되지 않아 생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실시한 공개 재현실험 결과, 급발진 현상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재현실험은 국민공모와 평가위원회에서 선정한 6건, 급발진연구회 주장 및 ‘09년 미국 토요타 차량 급발진 원인으로 제기된 내용 등 총 8건을 대상으로 했다.
또한 제안자가 요구한 실험조건에서 제안자가 직접 시연하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추진했다.
국민이 공모한 6건의 급발진 실험의 구체적인 내용은 ▲엔진제어장치(ECU)의 습기 ▲엔진제어장치에 전기적 충격 ▲주행 중 가속페달과 제동페달을 동시에 밟을 경우 제동력 상실 ▲엔진제어장치에 전기충격 및 발전기 고장 ▲엔진제어장치 가열 및 회로 단선 ▲연소실내 카본퇴적 등이다.
이 중 ‘엔진제어장치에 전기충격 및 발전기 고장’으로 인한 급발진 현상은 제안자가 당일 불참의사를 통보해 재현실험 대상에서 제외됐다.
국토부는 6건의 실험 중 재현실험에서 제외된 것 외에 5건은 엔진출력 상승 등과 같은 이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급발진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다만 앞으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급발진 조사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그동안의 민관 합동조사반 조사와 이번 공개재현실험 결과는 제3의 기관에 의뢰해 신뢰성 검증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